|간단 책 소개|
이 책은 단순히
질병의 치료법을
나열하거나 기전을
설명하는 교과서가
아닙니다.
인체가 보내는 ‘통증’과 ‘염증’이라는 생물학적
언어를 해독하기
위한 탐색, 그 결과물입니다.
통증과 염증은 흔한
주제입니다. 그러나 이
책은 그것을
기존의 의학적
해석 범주를
넘어 완전히
다른 시각에서
바라봅니다.
제1부에서는 염증과 면역
반응의 과학적
본질을 면밀히
분석했습니다. 염증은 단순한
증상이 아니라, 몸이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스스로
설계한 복구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설명합니다.
제2부에서는 통증을 구조적, 국소적 개념에서 벗어나, 신경계·면역계·내분비계가 얽힌 복합적
현상으로 재해석하며, 신경면역조절이라는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제3부에서는 신경면역축(Neuroimmune
axis)의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심층적으로 정리하며, 자연치유력을 촉진하는 통합
치료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신경계와 면역계, 내분비계, 장내 미생물까지-인체를 구성하는 네트워크의 불협 화음이
곧 통증과
염증이라는 신호로
나타난다는 통합적
시각이 이
책의 중심입니다.
이 책은 단지
전문의나 학자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현장의 임상의사라면, 통증을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의과대학 학생과 전공의에게는 해부학을
넘는 ‘사고의 지형도’를 제시합니다.
환자의 고통 앞에서 늘 무력했던 자신을 자책해본 모든 의료인이라면, 이 책이
하나의 위안이자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우리가 통증을 이해하고
염증을 존중하는
순간, 치료는 억제가
아니라 회복의
길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바로
그 첫걸음입니다.
정성수
|저자 소개|
정성수
1986. 02. 한양의대 졸업
1987. 03.-1990. 02. 한양대학 부속병원 내과 전공의
1990. 03.-1993. 04. 공군 군의관(항공군의관) 의무대대장
1993. 05.-1995. 04. 한양대학병원 류마티스 내과 전임의
1998. 09-2000. 08. 과학재단 해외 파견 박사후 과정
미국 예일대학 면역생물학교실 및 류마티스 내과
1995. 05.-2003. 02. 한양의대 내과/류마티스내과 교수
2006. 05.-2012. 05. 대한류마티스학회 실행이사
2007. 06.-2012. 04. 대한류마티스개원의협의회 회장
2003. 03.-2017. 08. 정성수 내과의원 원장
2008. 05.-2016. 08. 대한류마티스연구재단 이사
2024. 03.~ 대한류마티스학회 평의원
2013. 09.~ 대한기능의학회 고문/대한항노화학회 이사
2017. 09.-2019. 10. 미국 예일대학 면역생물학교실 및 류마티스 내과, 객원 연구원
2019. 12.~ 순천향 의대 부천병원 류마티스 내과 교수, 과장
제1부 몸의 방어선
항상성과 염증의
첫 번째
역할
Part I. 서론
1. 항상성과
적응적 항상성의
개념 정의와
염증의 역할
Part II. 항상성의 불균형과 염증 반응
1. 염증의
초기 반응
메커니즘
2. 염증
반응의 생리적
목적
Part III. 염증의 면역 반응과 통증
발생
1. 면역세포의
역할
2. 염증
매개체와 통증의
상관관계
Part IV. 항염증 반응과 회복 과정 - 치유의 시작
1. 항염증
반응의 시작
2. 항상성의
회복과 통증
감소
Part V. 만성염증과 만성통증(I)
1. 염증이
만성화되는 과정: 첫 번째 관점
2. 만성통증과
적응적 항상성의
악순환
3.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최적화하는
것이 항염증이다
Part VI. 만성염증과 만성통증(II)
1. 염증이
만성화 되는
과정: 두 번째
관점
Part VII. 염증과 통증 관리의 중요성 - 염증과 통증의 진단과
치료전략을 위한
과학적인 접근법
1. 진단
전략: 다차원적인 평가
2. 치료
전략: 맞춤형 접근
3. 염증의
초기 반응
메커니즘
Part VII. 염증 및 통증 관리의
통합적 접근
1. 염증과
통증 치료
방법
2. 예방적
치료와 장기적
관리의 중요성
제2부 통증의 재해석: 신경면역조절을 통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
Part IX. 통증이란 무엇인가?
1. 통증 인식에 대한 간단한 역사
Part X. 통증의 과학
1. 통증의
신경학적 이해
2. 통증
전달의 이해
3. 통증과
장내 미생물
4. 뇌에서의
통증 인식
Part XI. 통증 관리에 대한 잘못된
상식
1. 하부
요통 - 이미지에 대한
과도한 의존
2. 구조주의적
통증 진단의
함정
3. 통증의
생물학적 -심리적-사회적 모델
Part XII. 통증 치료의 재고
1. 수술과
구조적 해결의
한계
2. 약물치료에
의존하는 문제점
3. 통증을
줄이기 위한
신체 강화
Part XIII. 통증에 대한 전체론적 접근
1. 통증
과민화 이해하기
2. 교감신경의
만성통증에서의 역할
3. 통증
완화를 위한
마음 - 신체 접근법
4. 만성통증
재활
Part XIV. 통증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
1. 통증에
대한 새로운, 전체론적 접근의 필요성
2. 개인이
통증 경험을
어떻게 통제할
수 있는가?
제3부 신경면역조절을 통한
만성 질환
치료의 통합의학적
접근
Part XV. 이론적 배경
1. 신경면역
상호작용의 생리적
역할
2. 스트레스가
신경면역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3. 중추신경계에
의한 장기
기능 조절
및 항상성
유지 기전
4.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을 통한
면역 조절
메커니즘
5. 신경계-면역계-내분비계의 삼중 조절
시스템
6. Brain stem (vagus & sympathetic
neuron)-adrenal and spleen axis의
역할과 항염증
신호 활성화
기전
7. 자연
치유의 기전으로서의
항염증 경로
8. 신경면역조절과
장내 미생물의
상호작용: 만성 질환
치료의 새로운
접근
Part XVI. 부신-비장
축을 통한
뇌간 미주신경
및 교감신경
조절 전략
1. 부신-비장 축의 신경해부학적
기전
2. 근신경계
및 면역
조절을 위한
통합 침-반사 치료법
3. 비타민 B 및 마그네슘 주사를
이용한 INMAS의 신경면역
조절 기전: 과학적 타당성 평가
4. INMAS 치료에서 주사 저항성 차이의
기전 분석
5. 전기침: 특정 경혈 자극을
통한 항염증
반응 유도
Part XVII. 임상적 적용 및 치료
방법
1. 침술
및 신경
자극의 임상
적용
2. 임상에서의
침술 및
신경 자극
사용 확대
3. 미주신경
자극과 신경
재생
4. 자연치유기전
5. INMARS에서 척추주변점의 자침 및
주사의 목적
6. 증상
유발 조절점
7. INMARS 시술의 부작용 및 예방
전략
8. INMARS의 치료 효과 및
반응 유형
9. INMARS에서 환자 분류 및
치료 예후
예측 방법
10. INMARS 치료 프로토콜
11. 경혈이
신경 분지
지점에서 형성되는
과학적 분석
색인
통증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FAQ)
맺음말
구분 | 13시 이전 | 13시 이후 |
---|---|---|
군자도서 | 당일출고 | 1일 추가 |
타사도서 | 1일 ~ 2일 추가 | 2일 ~ 3일 추가 |
고객님께서 급히 필요하신 상품은 별도로 나누어 주문하시면 수령시간이 절약됩니다.
국내에서 재고를 보유한 업체가 없는 경우 해외주문을 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이 경우 4~5주 안에 공급이 가능하며 현지 출판사 사정에 따라 구입이 어려운 경우 2~3주 안에 공지해 드립니다.
# 재고 유무는 주문 전 사이트 상에서 배송 안내 문구로 구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전화 문의 주시면 거래처를 통해 다시 한번 국내재고를 확인해 드립니다.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반품 가능 기간내에는 반품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338 (서패동 474-1) 군자출판사빌딩 4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