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200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저자
대한중환자의학회
출판사
군자출판사
facebook twitter email printer
의학
정가
50,000원
판매가
47,500원
적립금
950원
발행일
20060825
페이지수
544
 
ISBN10
8970897690
배송비
결제금액이 25,000원 이상 무료배송
주문수량
updown
이 상품은 품절되었습니다.


중환자실은 1950년대 유럽에서 소아마비로 인한 호흡부전증 환자 치료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중환자실이 1961년에 개설되기 시작하여 현재 종합병원에는 대부분 중환자실을 갖추고 있어 600여 병원에서 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병원 규모와 특성에 따라 중환자실 기능과 규모도 정해지지만 중환자실 역할과 기능에 따라 병원 특성과 역할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더 말 할 나위 없습니다. 중환자실 기능은 중환자실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 뿐만 아니라 전담의료인들의 능력과 헌신 그리고 전담의료인들과 그들을 도와주는 약사, 호흡치료사, 영양사, 간호보조원, 의공학계 직원 및 의료기사들 간 팀원들의 협조가 어떻게 잘 이루어지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적절한 중환자 진료를 위하여 이들 팀원 간에 공유되는 표준화된 치료지침들이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팀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렇게 될 때만이 현대 중환자의학에서 강조하는 다원적 치료(multidisciplinary care)가 가능할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대한중환자의학회에서는 우리말로 된 중환자의학 교과서의 필요성을 논의하게 되었습니다.

2003년 11월 대한중환자의학회에서 편집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교과서 편찬위원회 첫 모임은 2004년 10월 7일 있었습니다. 중환자의학 교과서는 우리나라 중환자실에서 흔히 접하는 질병들의 진단과 치료 및 효율적인 중환자실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집필진을 내과, 마취통증의학과, 신경과, 외과 및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등 여러 분야의 전문 교수들로 구성하였습니다. 여러 차례 회의와 워크샵을 통하여 교과서 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서술 형식을 정리하였지만 부족한 부문이 많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앞으로 고쳐나가겠습니다. 모든 용어는 대한의사협회에서 출판한 제 4차 의학용어집에 근거하여 한글로 표기하였으며 편집자들이 협의하여 새로운 한글 용어로 서술한 것도 있습니다.

대한중환자의학회 교과서가 발간되기까지 물심 양면으로 지원을 아끼시지 않으신 대한중환자의학회 정성수 전 회장, 이병호 회장, 그리고 교육, 연구 및 진료로 바쁘신 중에도 많은 노력과 귀중한 시간을 할애하신 집필진, 편집위원회 위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수익을 생각하지 않고 출판을 맡아 주신 군자출판사 장주연 사장님과 임직원 여러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2006년 8월 대한중환자의학회 

교과서 편집위원회

 

제1장 역사와 현황 _ 정성수 I. 중환자의학의 역사 _ 1 II. 대한중환자의학회 역사 _ 3 III. 한국중환자실의 현황 _ 5 IV. 요약 _ 6 제2장 중환자실의 구조와 운영 _ 신증수 I. 중환자실 기준 _ 7 II. 의료 인력 _ 8 III. 중환자실의 종류 _ 8 IV. 중환자실 공간 구성 _ 9 V. 중환자실 공간 평면 구조 _ 9 VI. 중환자실의 설비와 환경 _ 12 제3장 술기 _ 길혜금 I. 기도관리 _ 15 II. 흉강천자와 흉강개구술 _ 22 III. 직접 동맥압 측정 _ 26 IV. 중심정맥 도관삽입술 및 말초정맥 도관 삽입술 _ 29 V. 폐동맥카테터 _ 34 제4장 감시 _ 박영철 I. 심전도 _ 53 II. 혈압 _ 57 III. 중심정맥압 _ 59 IV. 폐동맥압 _ 61 V. 맥박산소측정기 _ 68 VI.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 _ 69 VII. 두개강 내압 감시 _ 72 제5장 산-염기 평형과 동맥혈 가스분석 _ 이병호 I. 산-염기 평형 _ 75 II. 동맥혈 가스분석 _ 77 III. 최근의 산-염기 평형 해석법 _ 83 제6장 수액 및 전해질 요법 _ 전종헌 I. 수액요법 _ 87 II. 전해질 이상 _ 93 제7장 성분수혈 _ 정성욱 I. 전혈 _ 107 II. 성분수혈 _ 108 제8장 중환자 영양관리 _ 이명덕 I. 중환자의 대사학적 이해 _ 119 II. 중환자의 영양상태 평가 _ 120 III. 필요량 산정 _ 123 IV. 영양제의 종류 _ 124 V. 정맥영양액의 처방과 조제 _ 127 VI. 투여 방법 _ 127 VII. 정맥영양과 장관영양의 선택 _ 128 VIII. 중환자와 약물영양학 및 면역영양요법 _ 130 IX. 중환자 영양집중지원을 위한 영양집중지원팀 _ 131 제9장 진통, 진정 및 근육이완 요법 _ 이경민 I. 진통제 _ 133 II. 진정제 _ 136 III. 근육이완제 _ 141 제10장 감염관리 _ 유희구 I. 감염관리 기본 _ 145 II. 감염관리 지침 _ 146 III. 멸균 _ 147 IV. 격리 _ 149 V. 직원의 감염관리 _ 150 제11장 합병증 예방 및 치료 _ 윤석화 I. 깊은정맥혈전증 _ 153 II. 스트레스궤양 _ 154 III. 환자 신체구속 _ 156 제12장 사전의사결정 _ 백승완 I. 사전의사결정의 정의와 배경 _ 159 II. 사전의사결정의 종류 _ 160 III. 사전의사결정 제도의 영향과 문제점 _ 162 제13장 중환자치료의 중단과 유보 _ 고윤석 I. 중환자실의 의료 윤리적 특성 _ 165 II. 중환자치료의 중단과 유보 결정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점 _ 165 III. 치료 유보와 치료 중단 _ 167 제14장 중증도 분류 _ 이영주 I. 예측 척도 _ 171 II. 장기 부전 점수 _ 175 제15장 급성관상동맥증후군 _ 정남식 I.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병태생리 _ 180 II.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진단 _ 180 III.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치료 _ 182 IV. 결론 _ 183 제16장 심부전증 _ 송재관 I. 병태생리 _ 185 II. 원인 _ 186 III. 임상발현 _ 187 IV. 진단 _ 188 V. 치료 _ 189 VI. 중환자실 상황에서의 특수한 심부전 _ 191 VII. 맺음말 _ 191 제17장 부정맥 _ 정명호 I. 부정맥의 접근 _ 193 II. 부정맥의 발생기전 _ 194 III. 혈역학적 의미 _ 194 IV. 심실성 부정맥 _ 195 V. 심실상성 빈맥 _ 198 VI. 서맥성 부정맥 _ 199 VII. 직류 제세동 _ 202 제18장 심장혈관계 약물 _ 김준수 I. 강심제 _ 205 II. 항협심증 약물 _ 206 III. 항부정맥 약물 _ 208 IV. 항고혈압 약물 _ 211 제19장 저혈량성 쇼크 _ 신증수 I. 쇼크의 분류 _ 217 II. 저혈량성 쇼크 _ 218 제20장 패혈증과 패혈쇼크 _ 홍상범 I. 역학 및 정의 _ 223 II. 기전 및 원인 _ 223 III. 분류 및 임상 양상 _ 224 IV. 진단 및 감시 _ 226 V. 치료 _ 226 제21장 신부전증 _ 김흥수 I. 진단 _ 231 II. 치료 _ 232 III. 혈액 투석 _ 234 IV. 지속성 정정맥 혈액투석, 지속성 정정맥 혈액투석여과 _ 236 제22장 급성 간부전증 _ 고광철 I. 서론 _ 239 II. 급성 간부전증의 정의 _ 239 III. 급성 간부전증의 임상상 _ 240 IV. 전격성 간염의 치료 _ 242 제23장 위장관 부전증 _ 정훈용 I. 중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급성 복증 _ 247 II. 급성 췌장염 _ 248 III. 중환자에서의 위장관 출혈 _ 249 제24장 파종 혈관내 응고증 _ 안명주 I. 정의 _ 253 II. 병태생리 _ 253 III. 원인이 되는 기저질환 _ 255 IV. 임상증상 _ 256 V. 검사소견 _ 256 VI. 치료 _ 257 제25장 호흡부전 _ 권오정 I. 상기도 폐쇄 _ 259 II. 급성천식 _ 261 III. 만성 폐쇄성 폐질환 _ 262 IV. 흡인성 증후군 _ 266 V. 다량 객혈 _ 268 VI. 기흉 _ 272 VII. 흡입성 폐 손상 _ 275 VIII. 폐 색전증 _ 278 제26장 급성호흡곤란증후군 _ 고윤석 I. 정의 _ 283 II. 발생 원인 _ 283 III. 병태생리 _ 283 IV. 병리학 및 임상경과 _ 284 V. 진단 _ 286 VI. 치료와 합병증 _ 286 VII. 예후 _ 289 제27장 산소요법 _ 임동건 I. 산소화 과정 - 호흡 가스 교환 _ 291 II. 산소투여 방법 _ 296 III. 산소요법 평가 _ 298 IV. 산소요법의 부작용 _ 299 제28장 기계환기 _ 고신옥 I. 기계환기 구동 양식 _ 303 II. 환기보조 시작 과 유지 _ 308 II. 환기보조 동안의 감시 _ 309 IV. 환기보조 부작용 _ 309 V. 환기보조에서의 이탈 _ 310 VI. 기계환기기 구조 _ 312 제29장 양압 환기의 생리적 효과 _ 유철규 I. 폐장에 미치는 영향 _ 315 II. 폐외 장기에 미치는 영향 _ 326 제30장 비침습양압환기법 _ 임채만 I. 비침습양압환기법의 장단점 _ 333 II. 마스크의 종류 _ 333 III. 비침습양압환기법이 가능한 인공호흡기 _ 335 IV. 비침습양압환기법의 적응증 _ 335 V. 비침습양압환기법 적용 요건 _ 337 VI. 비침습양압환기법의 실제적 적용 _ 338 제31장 기계환기중 보조요법 _ 손장원 I. 헬리옥스 흡입 치료 _ 341 II. 일산화 질소 흡입 _ 342 III. 복와위 _ 343 IV. 폐포동원술 _ 345 제32장 새로운 환기법 _ 이국현 I. 고빈도환기 _ 349 II. 체외막형산소섭취 _ 351 III. 기관내폐환기법 _ 353 제33장 소아호흡부전 환자의 인공환기기 설정 _ 김종성 I. 급성폐손상 시 인공 환기의 개요 _ 355 II. 소아 급성폐질환의 인공호흡 _ 356 III. 비침습양압환기법 _ 359 IV. 고빈도환기법 _ 361 V. 소아 인공 환기 중 Nitric oxide의 사용 _ 364 제34장 중증폐렴과 올바른 항생제 선택 _ 정기석 I. 중증폐렴의 정의 _ 367 II. 주요 원인균 _ 369 III. 항생제의 선택 _ 369 IV. 치료효과 판정 _ 375 제35장 감염질환 _ 김우주 I. 요로감염 _ 377 II. 카테터 관련 감염 _ 380 III. AIDS _ 387 IV. 심내막염 _ 394 V. 독성쇼크증후군 _ 400 VI. 뇌막염 _ 405 VII. 연조직 감염 _ 408 VIII. 신증후출혈열 _ 412 IX. 렙토스피라증 _ 416 X. 쯔쯔가무시병 _ 421 제36장 혼수와 섬망 _ 김동찬 I. 혼수 _ 425 II. 섬망 _ 435 제37장 경련중첩증 _ 박수철 I. 간질 및 경련중첩증의 정의 _ 437 II. 경련중첩증의 역학 _ 438 III. 경련중첩중의 분류 _ 439 IV. 경련중첩증의 치료와 난치성 경련중첩증 _ 440 V. 난치성 경련중첩증의 치료 _ 440 VI. 중환자실에서의 난치성 경련중첩 환자에 대한 지속적 뇌파 감시 체제의 필요성 _ 442 제38장 뇌 손상 환자의 뇌 보호 전략 _ 김해규 I. 뇌손상의 진단 _ 445 II. 뇌손상환자의 관리 _ 447 제39장 뇌사 진단과 뇌사 장기공여자 관리 _ 고신옥 I. 뇌사 진단 _ 453 II. 뇌사 장기 공여자 관리 _ 455 제40장 중독 _ 오범진 I. 중독의 역학 _ 459 II. 알코올중독 _ 465 III. 파라캇 중독 _ 469 IV. 유기인산염 살충제 중독 _ 471 V. 해독제 _ 474 제41장 외상환자의 평가 및 생리적 변화 _ 최세영 I. 외상환자의 평가 _ 477 II. 외상환자의 생리적 변화 _ 479 제42장 수술 전 후 환자관리 _ 권재영 I. 고위험 환자의 수술 전 후 관리 _ 485 II. 중환자실에서 고위험 수술환자의 관리 _ 491 III. 수술 후 통증관리 _ 493 제43장 장기이식환자 관리 _ 서경석 I. 면역억제요법 _ 498 II. 신장 이식환자의 관리 _ 499 III. 췌장 이식환자의 관리 _ 500 IV. 간 이식환자의 관리 _ 500 V. 심장 이식환자의 관리 _ 501 제44장 안전 관리 _ 김동옥 I. 전기 및 전자파 _ 503 II. 감염 _ 507 III. 라텍스 알레르기 _ 510

배송안내

당일출고
List
구분 13시 이전 13시 이후
군자도서 당일출고 1일 추가
타사도서 1일 ~ 2일 추가 2일 ~ 3일 추가

고객님께서 급히 필요하신 상품은 별도로 나누어 주문하시면 수령시간이 절약됩니다.

  • - 당일 13시 이전에 주문과 결제가 확인된 주문건에 대해서 당일출고를 진행합니다. (단, 타사도서, 원서 제외되며 군자출판사에서 출간된 도서로 이뤄진 주문건에 한합니다.)
  • - 월요일 ~ 금요일 사이에 출고가 진행되며, 토요일과 일요일, 연휴기간에는 배송업무가 없으므로 구매에 참고 바랍니다.
  • - 도서수령일의 경우 제품이 출고된 후 하루에서 이틀정도 추가되며, 배송시간은 안내가 어렵습니다.
해외원서의 경우

국내에서 재고를 보유한 업체가 없는 경우 해외주문을 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이 경우 4~5주 안에 공급이 가능하며 현지 출판사 사정에 따라 구입이 어려운 경우 2~3주 안에 공지해 드립니다.
# 재고 유무는 주문 전 사이트 상에서 배송 안내 문구로 구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전화 문의 주시면 거래처를 통해 다시 한번 국내재고를 확인해 드립니다.

배송비 안내

  • - 25,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결제금액이 25,000원 미만일 경우 2,500원의 배송료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 - 반품/취소.환불 시 배송비는 최소 무료 배송이 되었을 경우, 처음 발생한 배송비까지 소급 적용될 수 있으며, 상품 하자로 인한 도서 교환시에는 무료로 가능합니다.

반품안내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반품 가능 기간내에는 반품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반품가능기간
  • - 단순변심 : 물품 수령 후 14일 이내 (단, 고객님의 요청으로 주문된 해외원서 제외)
교환이나 반품, 환불이 가능한 경우
  • - 주문하신 것과 다른 상품을 받으신 경우
  • - 파본인 상품을 받으신 경우
  • - 배송과정에서 손상된 상품을 받으신 경우
교환이나 반품, 환불이 불가능한 경우
  • - 개봉된 DVD, CD-ROM, 카세트테이프 (단, 배송 중 파손된 상품 제외)
  • - 탐독의 흔적이 있는 경우
  • - 소비자의 실수로 상품이 훼손된 경우
  • - 고객님의 주문으로 수입된 해외 도서인 경우
  • - 수령일로 14일 지난 상품의 경우

반품절차

3일 이내에 알려주세요.
  • - 책을 받으신 3일 이내에 고객센터 031-943-1888 혹은 1:1 문의게시판을 통해 반품의사를 알려주세요.
  • - 도서명과 환불 계좌를 알려주시면 빠른 처리 가능합니다.
  • - 도서는 택배 또는 등기우편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 - 14일 이내에 교환/반품/환불 받으실 상품이 회수되어야 하며, 반품과 환불의 경우 상품주문시 면제받으셨던 배송비와 반품배송비까지 고객님께서 부담하시게 됩니다.
반품주소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338 (서패동 474-1) 군자출판사빌딩 4층

환불방법
  • - 카드결제 시 카드 승인취소절차를 밟게 되며 무통장입금시 현금 환불 혹은 적립금으로 변환 가능합니다.
  • - 반품도서와 함께 주문번호와 환불계좌번호를 알려주시면 빠른 처리 가능합니다.
Total 0
List
No 제목 글쓴이 등록일 상태
상품문의 작성

이 분야의 베스트도서

이 분야의 베스트원서

이 분야의 신간도서